질의/ 자생적 및 미 관리 중인 약수터 수는? 답/조사하지 않아서 모른다
질의/ 8개 관리약수터 중 수질 부족하여 식수원기능 잃은 약수터는? 답/없다
질의/ 환경부는 수질기준 연속 부적합 시는 약수터 사용금지 조치 또는 폐쇄를 하는데 8개
관리 약수터 모두가 검사결과 연속 부적합 판정 및 수질기준 부적합한 총대장균군이
초과 되었는데 수질성적표와 약수터 사용 주의사항만 게시 했냐?
답변/ 많은 등산객 등이 이용하여 끊여 드시게 안내 하였다. 강제 폐쇄는 사정상 어려웠다.
질의/ 적극적인 행정행위로 약수터를 폐쇄 시키고 웅덩이를 만들면 머지않아 미니습지가 형성 되어 생태 체험장으로 활용해도 된다. 그런 구상을 한적 있는가? 답/없다
질의/ 일부 지자체는 적극적인 행정을 하는 곳도 있다. 우리 구도 등산객 등 약수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식수로 부적하다는 홍보 및 생태 체험장 조성을 위한 설문 등을 통해 미니습 지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고려해 보실 수 있는지? 답/고려하겠다.
질의/ 수질검사 결과 심각한 수준인데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진 않았냐? 차후 수립 요구한다.
방치되고 있는 약수터 종합정비계획 마련
관악산 자락 산재되어 있는 약수터 관리실태 전수조사, 종합정비 마련
관리 약수터 및 미관리 약수터 68개소, 2011년까지 11억 투자 모두 정비
시민들이 즐겨찾는 약수터,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통해 관리하고 있는 약수터는 시민들로부터 사랑받고 있지만 자생적으로 생겨나 관리되지 않고 있는 이름 없는 약수터가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관악구(구청장 김효겸)가 무분별하게 산재되어 있는 약수터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구는 지난 7월에 관악산, 국사봉, 청룡산 등 산자락에 무분별하게 산재되어 있던 약수터 관리실태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전수조사 결과 구에서 관리하고 있는 22곳 관리약수터 이외에 수원고갈이나 수질검사 부적합 판정으로 폐쇄된 약수터 4곳, 구민들이 임의로 개발 이용하고 있는 약수터가 무려 42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약수터란 구에서 정기 수질검사를 통해 관리하고 있는 약수터를 말하며, 미관리약수터는 시민들이 임의로 개발 이용하고 있는 약수터를 말한다.
□ 관리약수터 연차별 정비
구는 이번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오는 2011년까지 모두 정비한다는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간다. 관리약수터는 물론 미관리 약수터, 폐쇄된 약수터에 대해 년차별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먼저, 구에서 관리하고 있는 관리약수터는 총 7억을 투자해 2011년까지 모두 정비할 계획이다. 관리약수터는 총 22개소로 이 중 시설 노후 및 환경이 불량한 14개소가 정비대상이다. 주요정비는 파고라 설치, 저수조 및 배관정비, 음수대 산석붙임, 바닥포장 등을 통해 쾌적한 환경 속에서 구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정비한다.
이를 위해 우선 1단계 정비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정비하게 된다. 신림동 산9-1번지 소재 생수천 약수터를 비롯해 관음사, 상록수, 쌍생수, 폭포수1∙2 약수터가 정비대상이다. 2단계 2010년에 4개소, 3단계 2011년에 4개소가 정비된다.
□ 이름 없는 미 관리 약수터 등록 및 생태연못 조성
이번 조사결과 나타난 미 관리약수터는 총 42개소이다. 이 중 이용인구가 많고 수질상태가 양호한 26개소는 정밀 수질검사를 실시해 관리약수터로 등록해 정기적 수질검사 등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반면 이용인구가 적고 수질상태나 제반 환경이 좋지 않은 16개 약수터에 대해서는 폐쇄 후 생태연못을 조성하거나 산불 방화수로 활용할 계획이다.
먼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1단계 정비에 들어간다. 봉천동 산115번지 소재 국사봉약수터를 비롯해 이름 없는 5개 약수터가 그 정비대상이다. 국사봉약수터는 산불 진화용 저수조로 전환하고 나머지 이름 없는 약수는 생태연못으로 재탄생된다.
생태연못은 비오톱(Bio-Top) 개념인 생물서식공간으로 조성된다. 근교산내 자연석과 간벌목을 활용해 연못을 만들고 창포, 부레옥잠, 개구리밥 등 수생식물 식재와 팥배나무, 산수유 등 먹이식물을 식재한다. 이로써 도롱뇽과 개구리가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환경도 조성한다. 앞으로 생태모니터링과 숲속여행 프로그램과 연계한 어린이 자연학습장으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단계 2010년에 5개소, 2011년에 5개소 등 총 16개소 모두 정비한다.
또한 수원고갈과 수질불량으로 폐쇄된 약수터는 2009년 모두 철거하고 나무식재 등을 통해 원상회복할 계획이다. 공원녹지과(☎880-3691)
다문화가정/문화체육과 (0) | 2012.05.13 |
---|---|
각 동 주민센터 자료요구, 질문자료 (0) | 2012.05.13 |
정화조업계 비리 관련/자원순환과 (0) | 2012.05.13 |
사회단체보조금. 포상금. 수의계약 등/생활지원과 (0) | 2012.05.13 |
바이오디젤 주유소 TF팀 구성 의향은?/자원순환과 (0) | 2012.05.13 |